본문 바로가기

AI/정보보안

[정보보안] 고전암호

728x90
반응형

암호 용어

암호(Crytography)중요 정보를 다른 사람들이 해석할 수 없게 하는 방법
평문(Plaintext)암호화되기 전의 메시지
암호문(Ciphertext)암호화되고 난 후 변경된 메시지
암호화 또는 암호화 과정평문을 암호문으로 바꾸는 과정
암호화 알고리즘평문을 어떤 방식으로 암호문으로 변경할지 결정
암호화 키(Encryption Key)허락받지 않은 외부인이 암호문을 강제적으로 해독하는 것을 막음

 

전치(Transposition), 치환(Substitution)

전치 - 평문자나 비트의 순서를 절차에 따라 위치를 재조정하는 것
치환 - 평문의 문자들을 다른 문자, 숫자 또는 심벌로 바꾸는 것
 

치환 암호 - 시저암호

알파벳 26글자를 3자 또는 4자씩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방법.

알파벳 한 글자를 다른 한 글자로 대체하기 때문에 "단일 치환(Mono-Alphabetic Substitution)"이라고 부르기도 함.
암호해독이 어렵지 않음. 알파벳을 하나하나 차례로 이동하면서 암호문이 무엇인지 해독할 수 있음.
이러한 공격 방법을 "전사공격(Brute-force Attack)"이라고 하고 대부분의 고전 암호들은 전사공격에 취약하다.
 

치환 암호 - Playfair Cipher

다중 문자 치환 암호 기법(Multiple-Letter Encryption Cipher)으로 2자씩 암호화 하고 5x5 행렬로 암호화를 진행함.

  • 키워드 중복 문자를 제외하고 좌에서 우로, 상에서 하로 문자를 채움.
  • I와 J는 한 문자로 취급함.

 
암호화 방법

  • 반복되는 평문은 X와 같은 채움 문자로 분리
  • 같은 행에 두문자가 있을 경우 우측에 있는 문자와 치환
  • 같은 열에 두문자가 있을 경우 바로 밑에 문자와 치환
  • 그 외 평문자 쌍은 대각선에 위치한 문자와 치환

 
특징

  • monalphabetic 암호기법의 진보된 방법
  • 2중자의 빈도수 분석은 1중자보다 어려움
  • 1차 대전 중 영국 육군 야전 표준 시스템 사용
  • 2차 대전 중 미국 육군 및 연합군에서 사용

 
단점

  • 평문의 원래 구조가 많이 드러남
  • 수백자의 암호문자로 구조를 알 수 있음
  • 암호문은 평문보다 일정한 분포를 갖지만 해독이 용이함

 
 

치환 암호 - Vigenere 

단일 치환 방식의 한 글자가 반드시 다른 한 글자로 대체되기 때문에 빈도수 분석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개선한 암호방식.
 
다중 치환 방식 암호중 하나임.
26 x 26의 알파펫 대칭표를 이용하여 평문을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방법

 

728x90
반응형

'AI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