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설명
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설명
- 1 ≤ left ≤ right ≤ 1,000
left | right | reslut |
13 | 17 | 43 |
24 | 27 | 52 |
입출력 예 #1
- 다음 표는 13부터 1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수 | 약수 | 약수의 개수 |
13 | 1, 13 | 2 |
14 | 1, 2, 7, 14 | 4 |
15 | 1, 3, 5, 15 | 4 |
16 | 1, 2, 4, 8, 16 | 5 |
17 | 1, 17 | 2 |
- 따라서, 13 + 14 + 15 - 16 + 17 = 43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표는 24부터 2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수 | 약수 | 약수의 개수 |
24 | 1, 2, 3, 4, 6, 8, 12, 24 | 8 |
25 | 1, 5, 25 | 3 |
26 | 1, 2, 13, 26 | 4 |
27 | 1, 3, 9, 27 | 4 |
- 따라서, 24 - 25 + 26 + 27 = 52를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이 문제는 먼저 left ~ right까지의 수를 리스트로 생성한다.
[i for i in range(left,right+1)]
그 다음엔 리스트 안의 수의 약수의 개수를 센 다음l, 짝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해야한다.
어떤 수 n의 약수의 개수를 세는 공식은 n을 1 ~ n까지의 수로 나눈 나머지가 0인 숫자를 세면 된다.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ount = len([i for i in range(1,n+1) if n%i == 0])
다음은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 수인지를 판별해 짝수면 그냥 더하고 홀수면 -를 하여 더한다.
n if count%2==0 else -n
solution 함수안에 모두 넣게되면 코드가 복잡하므로 코드를 분리해서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def check_divisor_count(n):
count = len([i for i in range(1,n+1) if n%i == 0])
return n if count%2 == 0 else -n
def solution(left, right):
return sum([check_divisor_count(i) for i in range(left,right+1)])
728x90
반응형
'코딩테스트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프로그래머스]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0) | 2022.09.29 |
---|---|
[Programmers/프로그래머스]행렬의 덧셈 (2) | 2022.09.29 |
[Programmers/프로그래머스]문자열 다루기 기본 (0) | 2022.09.29 |
[Programmers/프로그래머스]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0) | 2022.09.28 |
[Programmers/프로그래머스]내적 (0) | 202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