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 (2) 썸네일형 리스트형 [MongoDB] 18. 데이터 모델링과 인덱스 - 인덱스 인덱싱 신문 기사를 노트에 스크랩할 때, 기사가 많아지면 원하는 기사를 쉽게 찾는 방법이 필요 노트의 맨 앞에서, 기사 제목과 페이지(가나다순)을 적은 "색인"을 만듬 제목을 모르고 기사 종류만 알고 있다면 색인을 사용하기 어려움 분야와 제목을 같이 색인에 활용하고 싶을 때는 "분야-기사제목-페이지 번호"로 색인을 만들면 됨. 많은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해 색인을 만들 때는 어떤 순서로 만드느냐가 중요 아래 단계로 내려갈수록 범위가 좁아지는 것이 유용함 인덱스의 특징 인덱스가 없다면 모든 도큐먼트를 조회해야함 인덱스는 쿼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함 새로운 도큐먼트가 생성/제거가 되면 인덱스도 함께 수정되어야 함. 속도의 저하 발생 가능성 단순 인덱스를 만들면 해당 필드를 조회할 때만 사용 가능 다수의 필드.. [MongoDB] 17. 데이터 모델링과 인덱스 -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과 인덱싱 DB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하드웨어 개선없이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데이터 모델링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DB에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 MongoDB의 특성을 고려하여 저장할 데이터의 구조를 정하는 작업 DBMS RDBMS MongoDB 설계 방식 테이블 설계 후 컬럼을 설계함 도큐먼트 설계 후 컬렉션을 설계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방안을 고려한 도큐먼트 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데이터 "정합성(일관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함. 모델링 예시 - 게시판 각 게시판은 "이름"을 가진다. 게시판에 글을 쓰는 사용자는 "이름, 생년월일, 포인트"를 가진다. 각 게시글은 게시판에 작성 가능, "게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