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트리

(2)
[자료구조] 트리 트리란? 트리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 여러 개의 노드(node)로 이루어진 비선형 자료 구조이다. 노드(Node) 트리의 기본 요소로서 데이터와 다른 노드와의 관계 정보를 가지고 있다. 각 노드는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노드 간에는 부모(parent)와 자식(children) 관계가 있다. 루트(Root) 트리의 가장 상위에 위치한 노드로, 모든 다른 노드는 루트로부터의 경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부모와 자식(Parent and Children) 트리에서 부모 노드는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부모 노드는 자식 노드보다 상위에 있으며, 자식 노드는 부모 노드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가지(Branch)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는 선이다. 각 노드는..
[기계학습/ML]10. 트리알고리즘 - 결정트리 '물꼬기'에서 근무하던 Pupbani는 같은 계열사인 '와인판다'로 파견을 가게 되었다. 와인판다에서는 신제품으로 캔와인을 만들어서 팔기로 했는데 너무 급하게 만들다보니 레드, 화이트 와인 표시가 누락되었습니다. 신팀장은 Pupbani를 불러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캔에 인쇄된 알코올 도수, 당도, pH 값으로 와인 종류를 구별하는 머신러닝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세요." "품질 확인용으로 뜯은 캔들도 있기 때문에 데이터는 충분할겁니다." Pupbani는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적용해보기로 했다. 데이터 준비 pandas 라이브러리를 통해 데이터를 불러왔다. 데이터가 누락된 값이 있는지 확인해보자 - info() 메서드 데이터 열에 대한 간단한 통계를 알아보자 - describe() 메서드 mean : 평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