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준비/정보처리기사필기 - 1과목(소프트웨어 설계)

[정보처리기사 필기] 1과목 정리 - 디자인 패턴

728x90
반응형

디자인 패턴

각 모듈의 세분화된 역할이나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는 수준의 세부적인 구현 방안을 설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 또는 예제를 의미함

아키텍처 설계 수준보다 낮은 수준의 설계 문제에 재사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

 

디자인 패턴의 혜택

  • 쉽게 재사용 가능
  • 설계 작업이 쉬워짐
  • 설계 관련 지식이 정리됨
  • 디자인을 논의하기 위한 의사소통이 쉬워짐
  • 객체지향 설계 원리를 잘 따르게 됨

디자인 패턴은 문제 및 배경, 실제 적용 사례, 재사용이 가능한 샘플 코드 등으로 구성

개발 과정 중에 문제 발생 시 -> 문제에 해당하는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

GoF의 디자인 패턴은 유형에 따라 생성 패턴 5개, 구조 패턴 7개, 행위 패턴 11개 총 23개의 패턴으로 구성

장점

  • 범용적인 코딩 스타일로 인해 구조 파악이 용이함
  • 객체지향 설계 및 구현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적합함
  • 검증된 구조의 재사용을 통해 개발 시간과 비용이 절약됨

단점

  • 초기 투자 비용이 부담될 수 있음
  • 개발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함
  • 설계 변경 요청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함
  • 객체지향을 기반으로 한 설계와 구현을 다루므로 다른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는 적합하지 않음

 

디자인 패턴 -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

생성 패턴은 객체의 생성과 관련된 패턴으로 총 5개의 패턴이 있음

  • 생성 패턴은 객체의 생성참조 과정캡슐화 하여 객체가 생성되거나 변경되어도 프로그램의 구조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하여 프로그램에 유연성을 더해

 

디자인 패턴 -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

구조 패턴은 클래스나 객체들을 조합하여 더 큰 구조로 만들 수 있게 해주는 패턴으로 총 7개의 패턴이 있음

  • 구조 패턴은 구조가 복잡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쉽게 도와줌

 

디자인 패턴 - 행위 패턴(Behavioral Pattern)

행위 패턴은 클래스나 객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이나 책임 분배 방법을 정의하는 패턴으로 총 11개의 패턴이 있음

  • 행위 패턴은 하나의 객체로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을 여러 객체로 분배하면서 결합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도와줌

728x90
반응형